왜 PLM에 주목하는가(1)
치열한 국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아웃소싱이 확산되고 있다. 리복(Reebok)이라는 상표의 신발회사는 브랜드ㆍ디자인ㆍ마케팅만 본사가 책임지고, 생산시설은 전혀 갖고 있지 않다고 한다. GM자동차는 엔진공장조차도 아웃소싱하고, 소형차 생산도 송두리째 아웃소싱 한다. 생산만이 아니라 콜센터, 회계관리 등 행정 서비스 부문도 인도로 아웃소싱 하는 추세가 날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 디트로이트에 위치하며, T1 자동차로 대량생산의 개념을 탄생시킨 포드자동차의 루지(Rouge) 공장은 1930년대의 전성기에 10만명이 근무를 했고, 600에이커(약 74만평. 참고로 여의도 면적이 약 100만평이다)의 부지에 전용부두와 전용제철소, 전용유리공장을 갖고 있는 세계 최대의 공장이다. 이 공장은 철광석에서 시작해 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자체 생산했다.
아웃소싱이 어디까지 확산될지는 끝이 보이지 않고, 이제 부품 협력업체는 피라미드 형태의 먹이사슬을 이루며, 해외까지 확산되고 있다.
아웃소싱의 확산은 새로운 문제점을 가져다준다. 만일 핵심부품인 엔진이 제 시간(Just in time)에 공급되지 못하면, 자동차 생산라인은 멈춰야 한다. 예전처럼 자체 공장에서 모든 부품을 생산하거나, 충분한 재고가 있다면 안심이 되겠지만, 현 상황은 그렇지 않다. 협력업체는 제 시간에 맞춰 부품을 배달해야 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라, 대기업들은 부품의 품질에서도 부품 협력업체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포드자동차가 파이어스톤이라는 타이어 회사에서 공급받은 바퀴의 품질문제로 큰 고통을 받은 것이 수년 전의 일이다. 이런 문제를 사전에 막기 위해 대기업들은 `확장기업(extended enterprise)'이라는 개념을 갖고 협력업체 관리에 나서고 있다.
PLM이 국내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이점은 바로 시간축, 공간축으로 관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공간축으로는 날로 증가하는 아웃소싱의 대상인 많은 협력업체를 관리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하며, 시간축으로는 제품의 개발과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자 패턴 분석부터 판매 이후의 애프터서비스, 할부금융, 리스, 폐차에 이르는 관리기간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는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고, 품질, 가격, 타임 투 마켓(Time to market)의 향상으로 그 결과가 나타난다.
중국의 추격, 일본의 따돌림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되고 있는 한국의 제조업체들이 정보화와 자동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가 바로 PLM이다. 개별 기업의 핵심 역량만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보조적인 기능들은 외부로 아웃소싱해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PLM은 필수적인 도구가 된다.
PLM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 표준화'와 `인력양성'을 꼽는다. 인터넷과 PC를 이용한 업무의 정보화가 그 밑바탕이 되겠지만, 협력업체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포함해 다양한 자동화 장비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자동화 장비들이 사용하는 정보가 표준화돼야 한다. 중국, 인도에 퍼져있는 해외공장을 관리하기 위해 영어라는 공통언어가 필요하듯 인도 공장의 로봇과 중국 공장의 로봇이 소통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표준화가 그 밑바탕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모든 정보화와 자동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PLM의 실현은 사람에 의해서 구현된다.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인력난은, 특히 정보화 인력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정보 표준의 확립과 기술인력의 양성은 결국은 정부가 나서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제조업 경쟁력 `지렛대`… 빠른 성장세(2)
제품 기획부터 폐기까지 모든활동 지원 / 개발기간 단축ㆍ비용절감ㆍ품질향상 기여
업종 구분없이 도입…'핵심 솔루션으로'
요즘 `샌드위치 신세'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기업의 현실이 고부가가치 산업을 앞세운 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과 저임금을 기반으로 맹렬하게 뒤쫓아오고 있는 중국 등 신흥국가의 기업들 사이에 끼인 신세라는 것이다. 국내 기업, 특히 제조분야의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 IT 솔루션 중 하나로 제품수명주기관리(PLM)가 부상하고 있다. 적극적으로 PLM을 활용하면, 제조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에 큰 이바지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지난해 말에는 국내 대표기업들인 현대기아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모여 PLM 컨소시엄을 설립하기도 했다. 2D CAD를 대체하기 시작한 3D CAD 역시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다.
PLM은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 개념 설계, 상세 설계, 생산 서비스에 이르는 전체 수명주기에 걸쳐 제품정보를 관리하고, 고객, 협력사에 협업 프로세스까지 지원하는 제품 중심의 연구 개발 지원 시스템을 말한다.
기업의 주요 활동은 제품기획, 설계, 생산, 유지보수를 축으로 한 제품 생성 프로세스와 영업 및 고객관리, 재고관리, 구매 등과 연관된 고객요구 수행 프로세스 등 2개의 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 제품 생성 프로세스 축이 PLM의 영역이다.
CAD가 제품의 설계, CAM이 생산을, PDM이 제품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라며, PLM은 제품의 기획, 설계, 제조, 운영, 보수유지, 폐기,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하고 그에 관련된 데이터, 정보, 지식 등을 관리한다.
PLM은 특히 제품 출시기간 단축, 비용절감, 품질향상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조업의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크다.
PLM 컨소시엄 회장인 현대기아자동차의
최근 제조업계의 PLM 구축은 업종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국타이어, 포스코건설, 웅진코웨이 등이 최근 PLM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고, 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건설기계 부문에 3D PLM 시스템을 구축했다.
PLM의 도입효과는 개발시간 단축, 품질향상, 비용절감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우선 실시간 디자인 협업이 가능해 외주 발주, 설계 검토, 품질검사, 입고시간 등이 단축되며, 협력사에 설계 변경정보가 실시간 통보돼 설계 변경시간도 줄어든다.
또 설계 초기단계부터 협업이 가능해 설계오류가 감소되며, 기본 설계외의 부수적인 작업을 시스템이 해결하기 때문에 제품개발 생산성 역시 개선된다.
PLM은 최근 유럽, 미국,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 준수를 위한 솔루션으로도 부상하고 있다.
PLM 솔루션이 자세한 부품 정보와 외부 제작업체 정보의 추적, 구성요소가 포함한 규제 대상 물질 함유량 추적과 검색, 녹색 부품 준수 상태 검색, 새로운 환경 규정에 대한 대응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 유해물질 관리, 보건 및 폐기물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환경, 보건, 안전과 관련한 기업 내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기능까지 제공한다.
이처럼 다양한 방면에서 PLM의 활용도가 부각되면서 관련시장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업인 ARM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PLM 시장은 지난해 113억 달러 규모를 형성한데 이어 향후 연평균 9%대의 성장세를 유지해 오는 2010년 16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ARM리서치는 기업들이 빠르게 PLM 도입을 확대할 것으로 보는 이유로 △적절한 제품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에 대처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개선 욕구의 증가 △연구개발 효율성 개선에 대한 CEO의 요구 증가 △제품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활동의 가시성 개선과 추적 용이성을 통해 제품 출시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확실하게 제어할 필요성 증가 △공급과 제조 기능을 모든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툴 요구 증가 △세계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한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업 요구 증가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한순흥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오종민 블로그]
'경영... > 이 제품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DVD시장 (0) | 2009.03.10 |
---|---|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0) | 2009.03.02 |
가상화 기술에 대하여.. (0) | 2009.03.01 |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0) | 2009.02.26 |
e- Book 이야기 (0) | 200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