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이 제품은.

BSC(Balanced Score Card)

흔적. 2009. 3. 18. 14:53

[오종민 블로그]

BSC는 균형성과표, 영어로는 Balanced Scorecard의 약자다. 조직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지난 10여 년 동안 개발된 많은 성과 측정 방법들 중에 가장 우수한 해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공공분야에서 그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BSC 1992년 미국 하버드 대학 비즈니스 스쿨의 로버트 S. 카플란 박사와 컨설턴트인 데이비드 P. 노튼에 의해 개발되었다.

* BSC의 핵심은?

BSC Top-Down방식으로 조직의 미션을 근거로 하여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이들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목표(핵심성공요인)들을 도출한 다음 각각의 성과목표들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성과지표들을 도출하게 된다. 성과지표들은재무관점, ② 고객관점, ③ 내부프로세스관점 및학습과 성장관점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BSC는 각 성과지표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수립하여 성과측정결과에 대한 환류(Feed-Back)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성과관리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 공공부문의 경우 성과지표로 왜 BSC가 적합한가?

공공기관의 경우 기업과는 달리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단지 과거의 기준처럼 예산의 "집행상태" "업무추진실적", "예산절감실적" 등과 같이 투입이나 과정 혹은 산출지표만으로는 좋다 나쁘다 라고 판단할 수 없다. 또한 "수행노력"이나 "조직 관리의 효율성" 등을 평가하는 지표가 계량화 되지 않으면 객관성이 부족하여 투명성이나 신뢰성에서 실효를 거둘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기획예산처에서도 재정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에서 가능한 한 결과지표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BSC에서처럼 고객(국민)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프로세스의 질과 서비스의 질은 얼마만큼 양호한지, 또 그들 조직의 역량과 근무만족도는 어떠한지 등이 계량화된 지표로 측정되어야 하며, 공공기관의 미션활동과 예산투입효과가 재무적으로 얼마만큼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 등이 공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BSC개념은 이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정부기관에 BSC를 도입하면 각 부처별로 추진되고 있는 많은 성과관리 관련 제도들을 일관되게 제도화 할 수 있으며 시스템 통합도 용이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아젠다넷5. 다음.